Governance Leadership거버넌스 리더십 연구
거버넌스 리더십은 거버넌스와 리더십 두 가지 개념을 연결하고
이는 실제로 "두 개의 개울이 아닌 하나의 강"으로 정의한다.
복잡한 공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기관, 비영리 조직, 민간 기업 및 시민 간의 협력적 파트너십과 공동 의사 결정 구조를 구축하는 것을 강조한다. 투명성, 참여, 협업지성, 책임성을 기반으로 정부, 시민사회, 민간 부문 등 다양한 행위자가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상호협력하고 소통하고 거버넌스 과정을 조성하고, 이끌어 나가는 리더십에 관한 연구이다. 다양한 학문적 배경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정의되고 연구된다.
거버넌스 리더십 연구는 거버넌스(governance)라는 개념과 리더십(leadership)이라는 개념을 결합하여 새로운 거버넌스를 위한 리더의 역할과 특성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거버넌스란 정부가 혼자서 국가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고 참여하면서 공공의 이익을 실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거버넌스 리더십은 이러한 거버넌스 상황에서 리더가 보여주어야 하는 특징과 능력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거버넌스 리더십 연구는 다음과 같은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
협력적 거버넌스 모델의 효과성
다양한 협력적 거버넌스 모델(예: 네트워크 거버넌스, 파트너십 거버넌스)의 효과성을 비교 분석하고, 공공 서비스 전달, 정책 문제 해결, 시민 참여 등의 측면에서 어떤 모델이 더 효과적인지, 그리고 어떤 조건에서 효과적인지 탐구한다.
-
협력을 위한 리더십의 역할
협력적 거버넌스 환경에서 리더십의 역할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리더십 스타일, 기술, 전략 등을 탐구한다. 특히, 갈등 관리, 신뢰 구축, 비전 공유, 책임성 확보 등의 측면에서 리더십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
인공지능 디지털 기술과 거버넌스 리더십
인공지능, 빅 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 발전이 거버넌스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디지털 시대에 요구되는 새로운 리더십 역량과 전략을 모색한다.
-
시민 참여와 거버넌스 리더십
시민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거버넌스 리더십 전략을 탐구하고, 시민 참여 플랫폼, 시민 참여 예산제 등 다양한 시민 참여 제도의 운영 방식 및 효과성을 분석한다.
-
공공 부문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리더십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공공 부문의 혁신을 이끌어내기 위한 거버넌스 리더십의 역할을 탐구하고, 혁신적인 정책 개발, 조직 문화 조성, 인재 육성 등의 측면에서 리더십의 역할을 분석한다.
Presidential Leadership대통령리더십 연구
미국 프린스턴 대학의 그린슈타인 박사는 20, 21세기 미국 대통령들과 리더십 특성을 연구하고 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탁월한 대통령 리더십6가지 특성 (The Presidential difference)
- 대국민 소통 능력 (a public communicator)
- 조직관리 능력 (organizational capacity)
- 정치 운영자로서 정치적 능력 (political skill)과
- 그것이 공공정책 비전에 활용되는 정도 (political operator)
- 많은 조언과 정보를 처리하는 인지적 스타일 (cognitive style)
-
감성지능 (emotional intelligence)
막스 베버가 "영혼의 확고한 길들이기"라고 칭한 감성지능이다. 감성지능은 대통령이 감정을 관리하고 감정을 건설적인 목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이며, 감정에 지배되어 리더십을 약화시키는 것은 아니다.(Greenstein, Fred I, 2012)
대통령 리더십은 다중적인 맥락과 객관적인 지표를 활용한 과학적 분석이 요구된다.
시대적 상황과 요구, 미래에 대한 비전, 위기관리 능력, 도덕성과 신뢰성 등 종합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대통령의 리더십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리더십 발전과 개선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통합적 리더십을 추구하며
민주주의와 인권 신장에 힘썼던 김대중 대통령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박정희 대통령은 6·25 이후 실의(失意)에 빠진 국민에게 ‘우리도 하면 된다. 서구 국가처럼 된다. 큰 공장을 짓고 우리 물건을 만들어 세계에 팔 수 있다. 고속도로도 놓을 수 있다’고 자신감을 불어넣어 주었다. 국민을 그렇게 만든 공로는 참으로 지대하다. 근대화를 이룬 것도 부인할 수 없다” 라며 “그동안 대한민국 대통령에겐 하나같이 가슴 아픈 일만 있었는데 그런 가운데 박 대통령은 국민 마음속에서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근대화를 이룬 것도 있지만 국민에게 새로운 눈을 뜨게 하고 확신감을 갖게 해 우리도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갖게 한 공이 크다. 역사에서 재평가 받아야 한다”라고 밝혔다.
(매일경제 2024.1.14)
“노무현 대통령은 권위주의 타파와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고 지역주의 완화 노력과 균형 외교를 추구하였다. ‘사람 사는 세상’은 그의 정치철학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김영삼 대통령은 문민정부 수립과 금융실명제 실시, OECD가입,역사 바로 세우기에 힘썼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국의 미래를 위해 대통령 리더십 연구는 정치적 극단주의를 극복하고 통합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인의 리더십 철학(세종, 퇴계, 이순신, 정약용 등)을 재정립하고, 한국인의 심성론(마음가짐, 마인드셋)을 기반으로 데이터 기반 분석, 학제적 접근, 비교 연구, 사례 연구 등 다각적인 연구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대통령 리더십 연구
대통령 리더십연구는 대통령이나 정치지도자가 가지는 리더십의 특성과 효과, 그리고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연구한다. 정치학, 행정학, 심리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적 접근법을 사용하며, 국가별, 시대별, 개인별로 리더십의 유형과 효과를 비교하거나 분석한다. 대통령 리더십연구는 다음과 같은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 국가에 대한 명확한 비전과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지원과 자원을 동원하는 것이 포함된다.
- 대통령의 개인적 특성이 리더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대통령의 리더십 스타일은 국정운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대통령의 리더십은 변화하는 상황과 기대에 적응하고 성공과 실패로부터 배우는 것을 수반한다.
- 대통령의 리더십은 공공성, 민주주의, 자유, 평화 등의 가치를 실현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가?
- 대통령의 리더십은 국내외적 환경과 동향에 어떻게 적응하고 영향을 미치는가?
- 대통령의 리더십은 민주주의와 권위, 혁신과 안정성, 합의와 결단력 등 경쟁적 가치와 이익 사이의 균형을 요구한다.
미국 대학 연구 사례
-
Harvard University: Presidential Politics and Policy
-
Yale University: The Presidency and Congress
-
Princeton University: American Political Leadership
-
Stanford University: The Presidency and the Press